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자동차 과태료 범칙금 조회 및 차이 총정리!

by 지역핫집소개로그 2025. 4. 13.
반응형

자동차 과태료, 범칙금 조회 및 차이 총정리!

운전을 하다 보면 어느 순간 “혹시 단속됐나?” 싶은 순간이 한 번쯤은 생깁니다. 특히 속도위반, 신호위반, 주정차 위반 등은 무심코 지나가다 카메라에 찍히거나 단속차량에 적발될 수 있는 상황인데요. 이럴 때 꼭 확인해야 하는 것이 바로 과태료, 범칙금, 벌점 조회입니다. 하지만 아직도 많은 분들이 과태료와 범칙금의 차이를 혼동하시곤 합니다.

 

이번 글에서는
✅ 자동차 과태료와 범칙금의 차이
✅ 자동차 과태료, 범칙금, 벌점 부과 기준
✅ 자동차 과태료 범칙금 조회 방법
✅ 자동차 범칙금 벌점이 쌓일 경우 운전면허에 미치는 영향까지

차근차근 정리해드립니다.


✅ 자동차 과태료 vs 범칙금 개념 차이

자동차 과태료, 범칙금 조회 및 차이 총정리!

항목 과태료 범칙금
주체 차량 소유자에게 부과 운전자에게 직접 부과
단속 방식 무인카메라 단속(비접촉) 경찰관 현장 단속(접촉)
벌점 없음 있음 (보통 10~30점)
증명서 영향 없음 운전경력증명서에 기록됨
대상 기준 차량 명의자 기준 운전자 본인 기준
예시 무인 카메라 속도/신호위반 등 음주단속, 현장 신호위반 등

요약:

  • 과태료는 "카메라 찍힘 → 차량 소유자에게 통지"
  • 범칙금은 "현장 단속 → 운전자에게 부과 + 벌점 있음"

🚦 자동차 과태료, 범칙금, 벌점 기준

📌 신호위반

구분 과태료 범칙금(벌점)
일반 구역 70,000원 60,000원 + 15점
어린이 보호구역 130,000원 120,000원 + 30점

📌 속도위반 (초과속도 기준)

초과속도 과태료(벌점없음) 범칙금 벌점
20km/h 이하 40,000원 30,000원 15점
20~40km/h 이하 70,000원 60,000원 30점
40~60km/h 이하 100,000원 90,000원 30점
60km/h 초과 130,000원 120,000원 60점

※ 벌점이 누적되면 면허 정지·취소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!


🧾 운전면허 벌점 기준 : 정지·취소 기준

구분 기준
면허 정지 벌점 40점 이상
면허 취소 1년 121점 이상, 2년 201점, 3년 271점 이상
벌점 소멸 사고 없이 1년 경과 시 40점 미만은 소멸
특별교육 대체 40점 미만 시 20점 감경 (교육 이수 시)

🔍 자동차 과태료 조회 어플 범칙금 벌점 확인 방법 (경찰청 교통민원24)

자동차 과태료 및 범칙금이 걱정된다면 바로 조회해보세요!
가장 쉬운 방법은 경찰청 교통민원24 (이파인) 또는 **모바일 앱 ‘교통민원24’**를 사용하는 것입니다.

✅ 모바일 앱으로 조회하는 방법

자동차 과태료 조회 어플 범칙금 벌점 확인 방법 (경찰청 교통민원24)

  1. ‘교통민원24’ 앱 설치
  2. 카카오·네이버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
  3. 단속 내역 및 미납 과태료/범칙금 조회

교통민원24어플다운(안드로이드)

교통민원24어플다운(아이폰)

 

✅ PC에서 조회하는 방법

자동차 과태료 조회 어플 범칙금 벌점 확인 방법 (경찰청 교통민원24)

  1. 교통민원24(eFine) 접속
  2. ‘과태료’, ‘범칙금’, ‘교통범죄’, ‘운전면허’ 항목 중 선택
  3. 본인 인증 후 단속 여부 및 납부내역 확인

경찰청교통민원24 바로가기

 

📌 참고: 단속 이후 즉시 조회되지 않으며, 빠르면 3일, 늦으면 1주일 이내 반영됩니다.


⚠️ 자동차 과태료 속도위반 단속 시 유의사항

  • 단속 카메라에는 오차 범위 허용이 있습니다.
    (예: 일반도로 30km 제한 → 실제 단속 기준은 42km부터)
  • 구간단속은 시작~종료 지점의 평균속도 기준
  • 신호위반 단속 카메라노란불에 진입 후 빨간불이면 단속 대상입니다.

✅ 마무리

✔️ 과태료는 소유자에게, 범칙금은 운전자에게
✔️ 범칙금은 벌점이 쌓여 면허 정지·취소로 이어질 수 있음
✔️ 교통민원24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
✔️ 단속 여부는 1주일 내 반영되므로 며칠 기다려 확인!

반응형